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908)
체육대회 후 동기들모임 정재순.공인순 제금숙.제정근 정용식.김영순 공인순.정재균 이두연.정웅길 정재성.김영순 공경식 이행기
부산 금정산성 모임
지리산모임
창원 북면 타조농장 모임 대인이 그놈 시원 하겠다.(강대인) 타조농장 대물앞에서(최미옥.김둘자.정재균.강대열.그리고 나) 정사장 뭐그리좋노?(정재균) 옥이 아지매 너무 야한거아녀...(교동 친구들.제정근.최미옥.최일환.정웅길.허만아) 하병두.김옥림.최일환
[스크랩] 친구로 있어줘서 고맙네. 친구로 있어줘서 고맙네. 언제까지 푸름을 잃지 않을 거 같은 나뭇잎이 차츰 힘을 잃고 퇴색되어 가는 걸 보니 이곳 남녘에도 차츰 가을이 깊어가고 있나보네 그려. 여보게, 친구 자네는 어떤가? 이때쯤이면 세월의 흐름이 빠르다는 걸 느껴지지 않던가? 마치 내가 거세게 흐르는 강물에 내가 휩쓸려가..
친구야 가을 비가 와이리 자주 찔끔그리냐! 농부들 가을 추수 해야되는데 땅이 질어 수확이 어렵고 이삭이 잘 여물지도 못할낀데... 무덥든 여름이 가고 가을이 깊어 가니 바쁘제? 무슨 행사도 그리많은지 휴일마다 빠꼼한 날이없다. 자녀들 결혼식에 환절기엔 연로하신 어르신들도 많이 가시고... 각종 동창..
친구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멋뜰어진 친구 내오랜 친구야. 언제라도 내곁에서 껄껄껄 웃던 ............................................ 이왕이면 더 큰잔에 술을따르고..........." 언제 보아도 살갑고 반가운 친구들 세상살이가 항상즐겁고 각자 아픔들이 왜 없으련만 그래도 이순간만은 기쁨의 술잔을 나눌수 있는 여유가 우리의 큰 자랑이 ..
우리민족과 숫자3 우리민족과 숫자3 3이라는 숫자는 우리에게 특별한 애착과 의미를 가진다. 예로부터 3이라는 글자의 뜻은 셋이라는 인위성을 떠나 신비로운 자연의 極致數(극치수)라하여 수천년에 걸쳐 사용되어 우리와 아주 밀접하게 연관이 되어있다. 朱子(주자)는 三이라는 수는 宇宙萬物(우주만물)의 根本數(근본..